미팅정보

Zoom 회의 정보: https://us06web.zoom.us/j/2247507501

분과장:  강한나
기록:  유승종


참석자

출석여부

성명

이메일

소속

O

강한나

카카오헬스케어

O

유승종

서울부민병원 

O김유원yuone0227@gmail.com서울부민병원 
O김수경tnryd227@gmail.com서울부민병원
O정성원swjung77@gmail.com강원대학교
O전형석hsjeon@healthall.co.kr헬스올
O이민선mlee@k-his.or.kr

한국보건의료정보원 

O천인하chun6667@k-his.or.kr한국보건의료정보원
O성수미 (Obs)chellestin@gmail.com서울대학교

유하현 (Obs)hahyun2765@gmail.com서울대학교
O이승민 (Obs)min8607@outlook.com서울대학교
개회 & 인원 확인7/8
안건

10/10(화) 14:00

  1. TSC 이슈 제기 확인
  2. 부민병원 번역 진행사항
  3. SNOMED CT 번역 서브그룹 제안 (Anatomy, ...)
  4. 주요 FHIR Resource에서 사용되는 CodeSystem & ValueSet 단계별 검토
    1. Encounter (정형석)
  5. 기타 공지
다음 모임 일정 및 안건

10/31(화) 14:00 

  1. TSC 이슈 제기 확인
  2. 부민병원 번역 진행사항
  3. SNOMED CT 번역 서브그룹 제안 (Anatomy, ...)
    1. 번역 원칙 간단 정리 (강한나)
  4. 주요 FHIR Resource에서 사용되는 CodeSystem & ValueSet 단계별 검토
    1. Encounter (정형석)
  5. 기타 공지

논의 항목

논의 내용

기타
  1. SNOMED CT 번역 서브그룹 제안 (Anatomy, ...)

10/10

  • 김수경 선생님 (부민병원)
  • 강한나 박사님 (카카오헬스케어)

한국보건의료정보원

10/10 

  • 정성원교수님, 강한나박사님 : KR Core 페이지에 한국에서 새로 정의된 것 이외의 KR Core V1 ValueSet 추가하기

=> 이전 TSC 대면 회의(10/20(금) 18:00) : 위원장 & 정성원교수님만 참여하여 산화, IG WG로 넘김

=> IG WG : ValueSet URL Link 만 연결해줌, Voca. WG 안은 논의 안됨

추가논의사항 : 과제로 나올 경우 웹페이지 작성까지... Voca. WG 회원들 과제참여 or 검토


9/12

KR Core V1 ValueSet 코드 한글 번역 검토 

  • 분량 : 74개 정도
  • "한글"은 Display 등에 사용되지만, FHIR instance 내에는 "코드"가 사용됨
  • 이슈 : KR Core 페이지 추가하기 (한국에서 새로 정의된 것만 페이지가 있음) => TSC 이슈 제기 (정성원교수님, 강한나박사님)

SNOMED CT 번역

10/10 부민병원

  1. Disorder (완료) : 26500 여개

  2. Finding (완료) : 4000 여개

  3. Procedure (진행중)

    1. conceptid : 2,530 / 한글 : 3,439

  4. 아산/서울대 의학 정보 coverage 확인

    1. 아산: 질환 1,196 / 증상 1,008

    2. 서울대: 질환 766 / 증상(조회수상위) 182


9/12 부민병원

  • Disorder 번역 검토 완료 : 26500 여개
  • Finding 번역 검토 중 : 3500 여개 / 4000 여개
  • Procedure 번역 검토 예정
  • 오픈 고민

8/22 부민병원

  • Disorder 번역 검토 중: 21000 여개 / 26500 여개
  • Finding 번역 검토 예정 : 2000 여개 / 4000 여개

8/1 부민병원

  • Disorder 번역 검토 중: 9400 여개 / 26500여개
  • Finding 번역 검토 예정 : 4000 여개

7/11

  • 부민병원
    • 진단 & 처치 이외에도 추가 (자동)

conceptid 수

표현 가능한 한글 수

26,712

44,008

    • 진단 번역 검토 중 (의료인 4인) : 26398 개 (Description)

6/20

  1. 부민병원 사례 발표 및 논의
    1. 부민병원 : 3만여개
    2. 정보원 : KCD8 &  5대암종 => 논의 중, 7월 중에 정리될 듯
    3. 추가가능인원 : 장은석선생님(공군, FM), 카카오헬스케어 1인 

중요 FHIR Resource에서 사용되는 CodeSystem & ValueSet 단계별 검토 

(예. Patient, Encounter, Condition 등)

9/12

특이사항 

  • Organization.telecom (R4) → X (R5)
  • Organization.address (R4) → X (R5)
  • Organization.contact (BackboneElement, R4) → (ExtendedContactDetail, R5)


8/22

  • Practitioner.Qualification

Qualifications, certifications, accreditations, licenses, training, etc. pertaining to the provision of care

"The Practitioner resource is used for anyone involved in the provision of care or services to a Patient associated with an organization. The RelatedPerson resource is used for anyone involved in the care for a patient, typically having a personal *relationship *or non-healthcare-specific professional relationship to the patient."

  • Practitioner.Qualification.code (0..*) (Example) : 현재는 학력 및 자격을 나타낼 수 있음

Code    Display    번역
  PN    Advanced Practice Nurse    전문 간호사
  AAS    Associate of Applied Science    
  ... 
  BA    Bachelor of Arts    
  ...  

  CER    Certificate    자격증
  CANP    Certified Adult Nurse Practitioner    
  CMA    Certified Medical Assistant    
  CNP    Certified Nurse Practitioner    
  CNM    Certified Nurse Midwife    자격증 보유 조산사
  CRN    Certified Registered Nurse    자격증 보유 간호사
  CNS    Certified Nurse Specialist    자격증 보유 전문 간호사
  CPNP    Certified Pediatric Nurse Practitioner    
  CTR    Certified Tumor Registrar    
  DIP    Diploma    학위
  DBA    Doct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   
  MD    Doctor of Medicine    의사
  DO    Doctor of Osteopathy    
  EM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응급구조사
  EMTP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Paramedic    응급구조사 ?
  ...    
  MA    Master of Arts    
  ...    
  MDA    Medical Assistant    
  MT    Medical Technician    의료 기사
  ...    
  PA    Physician Assistant    의사 보조
  RMA    Registered Medical Assistant    
  RN    Registered Nurse    간호사
  RPH    Registered Pharmacist    약사
  SEC    Secretarial Certificate    
  TS    Trade School Graduate    

=> 추가할 것? 간호조무사


  • PractitionerRole

Scope and Usage : The PractitionerRole describes the types of services that practitioners provide for an organization at specific location(s)

Background and Context : Practitioner performs different roles within the same or even different organizations. Depending on jurisdiction and custom, it may be necessary to maintain a specific Practitioner Resource for each such role or have a single Practitioner with multiple roles. The role can be limited to a specific period, after which authorization for this role ends. Note that the represented organization need not necessarily be the (direct) employer of a Practitioner.

  • PractitionerRole.role

=> 다시 설명 필요

  • PractitionerRole.speciality


8/1

  • Patient.maritalStatus

Annulled : 무효
Divorced : 이혼
** Interlocutory Decree : 조정 기간? (https://dictionary.law.com/default.aspx?selected=1001)
Legally Separated : 별거 (법적으로는 혼인관계이지만 더이상 함께 살거나 관계가 없음. https://www.protective.com/learn/legal-separation-or-divorce)
Married : 혼인
** Common Law (보통법) : 사실혼?
a marriage recognized in some jurisdictions and based on the parties' agreement to consider themselves married and can also be based on documentation of cohabitation.
This definition was based on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common-law%20marriage.
Polygamous : 다수 배우자
Domestic partner : 동거
Unmarried : 결혼상태가 아님, 
Never married : 미혼
Widowed : 배우자 사망
Unknown : 모름

+ ... 

  • Patient.contact.relationship

Billing contact person : 청구서 수신인 연락처
Contact person : (보호자) 연락처
** Emergency contact person : 응급시 보호자 연락처
** Person preparing referral : 전원할 곳에 연락처, 의뢰한/회송 의사
Employer : 고용인
** Emergency Contact : 응급 연락처
Federal Agency: 연방 기관
Insurance Company : 보험 회사
Next-of-Kin : 친척
State Agency : 주기관
Unknown : 모름

+ National, City, ... agency

  • Patient.link.type

Replaced-by : 이 링크를 포함하는 patient resource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Replaces :  이 링크를 포함하는 patient resource는 현재 활성화된 환자 기록임
Refer : 이 링크를 포함하는 patient resource는 현재 사용되고 유효하지만 주된 소스는 아님
Seealso : 이 링크를 포함하는 patient resource는 현재 사용되고 유효하지만 같은 개인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Patient 또는 RelatedPerson resource를 가르킴

** 확인필요


7/11

다음 미팅시에 patient resource 작업

Patient resource (https://www.hl7.org/fhir/patient.html)


6/20

  1. KR Core Condition Category Types (KR Core 진단 및 주호소 범주 코드체계) 
    1. 주증상 & 진단, encounter-diagnosis, problem-list-item 
      1. Encounter의 DiagnosisRole :
        1. AD    Admission diagnosis    
        2. DD    Discharge diagnosis    
        3. CC    Chief complaint    
        4. CM    Comorbidity diagnosis    
        5. pre-op    pre-op diagnosis    
        6. post-op    post-op diagnosis    
        7. billing    Billing

SNOMED CT 매핑

7/11

  • 카카오헬스케어 : 현재 공개불가
  • 부민병원 : 오픈된 매핑 중 exact 수용, 그 외 것은 매핑 고민 중


6/20

  1. 교육
  2. 카카오헬스케어
    1. 진단, 수술, 주호소, 약제(RxNORM Extension, ATC), 검사(LOINC), 영상(SNOMED CT) 
  3. 정보원/심평원 오픈데이터



FIGO stage 

9/12

미확정, Broader pre-coordinated concept 사용


8/22

  • Post-coordination expression (example)

Malignant tumor of ovary stage 1a

363443007 |Malignant tumor of ovary (disorder)|:
{363714003 |Interprets (attribute)|=385363007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ovarian tumor stage (observable entity)|,
363713009 |Has interpretation (attribute)|=1222724007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e IA (qualifier value)|}

=> 2022년 7월 이전 International Edition에서는 "Interpret(attribute)"에 보통은 "Lesion Observable(observable)"코드가 들어가 있었음

  • observable entity 값을 넣을 수 있으나, "Stage 코드"가 들어간 사례가 있는지 확인 필요

=> 2022년 8월까지는 AJCC Staging (qualifier) 관련 코드가 적용된 사례는 없었음.


SNOMED CT 한국판 최종 산출물 (KCD8 &  5대암종 )

7/11

원내 검토 중으로 현재 시점에서는 외부 공개 불가

8월 기술검토 후에 공개여부 결정


청구코드 중 코드가 한글로 되어 있는 것이 있는지?

7/11

없는 것으로 보임 (의정원)


KR Core 코드시스템 & 밸류셋 관리

7/11

의정원에서 하는 것으로 (상세 내용은 추후에)


KR Core
  • 청구코드 중 코드가 한글로 되어 있는 것들 확인 필요 

6/20

=> 정보원 확인 필요


  • KR Core에서 사용되는 CodeSystem의 변경에 따른 공지는 관리기관(정보원)에서 할 필요가 있음

6/20

지난회의

=> 정보원 확인 필요


  • OID 확인 필요 : OID 필요하지만 FHIR에서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니어서 추후에 정하기로 함 (IG WG와 논의)

6/20

지난회의

=> 추후 논의


KR Core

6/20

  1. HL7 Korea Connectathon ( 2023 June FHIR Connectathon 결과 (트랙명: KR Core Connectathon Track) )
    1. Terminology Server
      1. 헬스올
        1. 청구코드 중 비급여코드 포함되어있어 삭제 
      2. 부민병원 
        1. HL7 Terminology 페이지와 R4 Terminology 페이지 차이있어 수정함

          1. HL7.TERMINOLOGY\Downloads - FHIR v4.0.1Downloads - FHIR v4.0.1

      3. 이지케어텍 : SNOMED CT, LOINC 미설치 
  2. KR Core Balloting
    1. CodeSystem 내 계층구조(is-a) 사용

      1. MOHW Practitioner Qualification Types 의 경우 class property를 사용했는데, 이 경우 Hapi FHIR에서 검색이 안되는 문제 발생하여 class를 삭제하기로 함

    2. 한글 코드 사용 관련 

    3. 비급여 EDI :  "필수"에서 "선택"으로 변경 
      1. 수술및처치정보, 약품제품명, 진단검사항목명, 병리검사명, 기능검사명 

5/9 KR Core

<미해결>

  • KR Core에서 사용되는 CodeSystem의 변경에 따른 공지는 관리기관(정보원)에서 할 필요가 있음 (정보원 확인)
  • OID 확인 필요 : OID 필요하지만 FHIR에서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니어서 추후에 정하기로 함 (IG WG와 논의)

<해결>

  • 청구코드를 아래 3가지로 CodeSystem으로 분리 (행위, 의약품, 치료재료)=> 분리 
  • EDI 영문 명칭의 적절성  => 아래와 같이변경
  1. 행위(Procedures) => Procedure
  2. 치료재료대(Supplies) => Material
  • ValueSet에 정의된 ATC가 없어 추가 필요 = > 추가
    참고 : https://terminology.hl7.org/CodeSystem-v3-WC.html
  • KDCA Vaccination Types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유형 코드체계) : 명칭을 코드로 사용하지 않고 임의의 코드를 부여
  • KR Core Condition Category Types (KR Core 진단 및 주호소 범주 코드체계)  : 한글 외에 영문도 포함 => condition  : 주증상, 진단, encounter-diagnosis, problem-list-item(현&과거병력) 
  • MOHW Practitioner License Types & MOHW Practitioner Qualification Types: license나 qualification 이 의미적으로 유사하여 혼란스러워 MOHW Practitioner Qualification Types 으로 통합
  • ATC 유료 : https://www.whocc.no/atc_ddd_index_and_guidelines/order/ (정보원 확인)
  • CodeSystem ID & URL : 업데이트, 원소스 링크 등의 문제로 원소스 기관(예. 심평원)과 협의를 통해서 결정하는 것을 추천하지만, 시간 상 어렵다면 어떤 것이어도 상관은 없음

=> http://www.hl7korea.or.kr/fhir/krcore/2023June/terminology.html

Procedure ID : http://www.hl7korea.or.kr/CodeSystem/hira-edi-procedure

Procedure URL : http://www.hl7korea.or.kr/fhir/krcore/NamingSystem/ns-hira-edi-procedure

Medication ID : http://www.hl7korea.or.kr/CodeSystem/hira-edi-medication

Medication URL : http://www.hl7korea.or.kr/fhir/krcore/NamingSystem/ns-hira-edi-medication

Material ID:  http://www.hl7korea.or.kr/CodeSystem/hira-edi-material

Material URL : http://www.hl7korea.or.kr/fhir/krcore/NamingSystem/ns-hira-edi-material

  • 원소스 Link 및 버전 명시 (향후 정보원 제공) : 업데이트 등의 문제가 있어서 원소스 기관(예. 심평원)에서 원소스를 제공하고 정보원에서 링크를 제공

=> http://www.hl7korea.or.kr/fhir/krcore/2023June/terminology.html


  • HIRA Medical Department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과목 코드체계) (정보원 확인) => 첨부파일 참고


행위코드

5/9 

5자리 vs 8/9자리 : 기본코드 5자리 + 산정코드 3/4자리 (강한나)

참고기사 : https://www.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126235

참고자료 :


부민병원 Terminology Server

6/11

SNOMED CT Browser :  https://term.bumin.co.kr/

FHIR Endpoint : https://term.bumin.co.kr/term/api/fhir

Authoring Platform : http://14.32.42.32:8080  (ts_author/iamauthor)

6/20 변경

SNOMED CT Browser :  http://14.32.42.32:8800/sct-browser/?

FHIR Endpoint : http://14.32.42.32:8088/term/api/fhir (Get only)

Authoring Platform : http://14.32.42.32:8080  (ts_author/iamauthor)

5/9

강한나박사님 확인사항

1. task 생성
2. task detail 수정
3. 개념 검색
4. 개념 선택하여 조회
5. 개념 clone
6. axiom조회
7. 다이어그램 조회
8. A-V 추가
9. description 추가
10. 용어 A/P type 변경
11. 언어 변경 (-)
12. 저장 (-)

<부민병원 AP 화면>

  • 환경설정(metadata) 문제 가능성 있음

<Managed Service 화면>

5/2

SNOMED CT Browser : http://14.32.42.32:8070

Authoring Platform : http://14.32.42.32:8080  (ts_author/iamauthor)

FHIR Endpoint : http://14.32.42.32:8088/fhir (Get only)



HL7 FHIR & Terminology


5/2

https://terminology.hl7.org/

FHIR Code System : https://terminology.hl7.org/codesystems-fhir.html
FHIR Value Set : https://terminology.hl7.org/valuesets-fhir.html

FHIR External Code System : https://terminology.hl7.org/external_terminologies.html


HL7 Korea 소개 및 진행사항


5/2

2/15(수) 이사회 -  새로운 정관 및 운영규칙 통과

  • 정관
  • 운영규칙

2/28(화) 총회 - 새로운 이사회 구성 및 정관 통과

5월 KR Core 표준제정 프로세스 시작 예정 (한국보건의료정보원와 협의 하에 8주)  

http://hl7korea.or.kr

Co-chair

7/11

카카오헬스케어 강한나박사님 선출 

HL7 Korea TSC 의결


  • No labels